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광고매체 통합 데이터 활용방안

최근 저희 비즈스프링 로거에서 광고매체 통합 리포트 기능을 오픈했다는 소식 알고 계신가요?

혹시 광고매체 통합 리포트 기능을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LOGGER에서 제공하는 광고매체 통합 리포트 기능을 한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광고매체 데이터와 자사 광고 성과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먼저 광고를 운영하면서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하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까?”

 

위의 고민을 좀 더 분류해보겠습니다.

  • 얼마나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까?
  • 고객 한 명을 확보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줄일 수 없을까?
  • 매출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을까? OR 광고 수익률(ROAS)은 얼마나 될까?
  • 운영중인 광고의 적정 수준 비용은 얼마일까?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광고매체 데이터자사 광고 성과 데이터취합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media_no(ex. 200004, 200006)과 keyword_nm(ex. 데이터분석, 마케팅, 웹분석)을 기준으로 Record Count, impr, click, cost, pv, odr, rvn의 값이 보여지는 Logger 리포트 예시 화면
(그림1) 광고매체 통합 데이터 화면

이렇게 광고매체 데이터와 자사 광고성과 데이터를 취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것은 현재 보여지는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찾아 액션 플랜까지 이어져야 합니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액션 플랜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데이터 시각화’가 필요합니다.
그럼 실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운영중인 광고에 대한 현황을 한 눈에 모니터링

왼쪽에는 성과요약으로 노출수, 클릭수, CTR, 회원가입수, 주문수, CAC, 광고비, 매출액, ROAS 지표가 스코어카드로 나타나있고, 오른쪽에는 광고매체 별 매출 비율로 구글디스플레이, 네이버 쇼핑검색, 카카오 PC 콘텐츠 등과 같은 매체의 비율이 원형차트로 보여지는 Logger 솔루션 예시 화면
(그림2) 광고 성과 모니터링 요약

광고 성과 요약에는 광고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가 한 눈에 파악되어야 합니다.

 

📍 잠재 고객을 확보가 목표인 경우

CTR만 보면 안되고 노출수와 클릭수를 동시에 확인하여 잠재 고객에게 브랜드를 인지시킨 볼륨이 어느 정도인지 한 눈에 볼 수 있어야합니다.

 

📍 CAC(고객획득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표인 경우

실제 고객 획득의 기준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먼저 정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광고 성과 추세를 빠르게 파악

왼쪽은 CTR의 선차트로 한눈에 모니터링하기 쉬운 것을 강조하고 있고, 가운데는 CAC의 선차트로 다양한 항목(ex. 노출수, 클릭수, 주문수 등)을 선택하여 바꿀수 있는 점을 강조하고, 오른쪽은 매출액 선차트로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 Logger 솔루션 예시 화면
(그림3) 광고 성과 추세 모니터링

주요 광고 성과 목표에 대한 일자 별 추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계절성 트렌드 뿐만 아니라 추세선을 활용하여 목표 성과가 좋은 결과를 내고 있는지 좋지 못한 결과를 내고 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트리맵 데이터를 통해 목표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 수립

1번은 네이버 파워링크가 다른 광고매체에 비해 고객 획득 비용이 높은 것을 보여주는 트리맵이고. 2번은 E키워드가 다른 키워드보다 고객 획득 비용이 높은걸 보여주면서 카카오 모바일 검색에서 A키워드 또한 높은 상황을 보여주는 트리맵이고, 3번은 매출기준으로 E키워드와 A키워드는 다른 매체/키워드 보다 낮은 매출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트리맵 예시 화면, 사진 하단에는 Action Plan으로 네이버 파워링크 E키워드와 카카오 모바일 검색 A키워드의 CPC 단가를 낮추어도 해당 키워드의 매출액 변동은 크게 없을 것이라는 가설 설명
(그림4) 광고 성과 트리맵

※ (그림4)는 트리맵을 활용하여 운영중인 광고의 CAC를 줄이는 방안 찾는 예시

 

📋 위 내용 요약

네이버 파워링크 광고매체의 CAC가 가장 높습니다. 또한, 키워드를 비교해보니 네이버 파워링크 ‘E키워드’뿐만 아니라 카카오 모바일 검색 ‘A키워드’도 다른 광고 키워드보다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두 키워드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봤을 때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조합하여 가설을 세워 실행한 후 검증하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 운영중인 광고의 포지션 맵을 통해 액션 플랜 수립

잠재고객 확보 파악을 위한 포지션 맵으로 위에는 노출수, CTR 문구가 적혀있는 포지션 맵이있고, 아래는 Y축과 X축에 사용하는 측정항목에 따라 포지션맵을 사용할 수 있다는 문구 존재
(그림5) 광고 포지션맵

※ (그림5)는 분산형 차트를 활용하여 운영중인 광고 포지션맵을 만들게 됨

 

📋 위의 포지션맵 해석

1) 노출수, CTR이 모두 높은 그룹

운영중인 광고 소재가 잠재 고객을 확보하는데 최적인 광고 매체입니다. 하지만 해당 영역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다면 소재 변경 시점이 다가 오고 있다는 것이므로 참고해야 합니다.

 

2) 노출수는 높으나 CTR이 낮은 그룹

활용하고 있는 소재가 잠재 고객에게 관심을 끌 수 있는 소재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경우, 경쟁사에서 사용하는 소재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3) 노출수는 낮으나 CTR이 높은 그룹

이 경우는 매니아 층의 잠재 고객을 확보하는 광고 매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키워드 광고의 경우 경쟁 상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해당 키워드에 맞는 랜딩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면 웹사이트에서 성과로 이어질 확률도 높은 잠재 고객입니다.

 

4) 노출수, CTR이 모두 낮은 그룹

잠재 고객 확보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금 설명드린 내용은 잠재 고객 확보가 목표인 경우에 대한 예시이며 광고의 목표에 따라 X축과 Y축을 바꿔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 맵 내에서 카카오 PC 검색 포털의 경우 경쟁상대가 많지 않거나 없지만 클릭율을 평균적인 상황, 네이버 파워링크는 경쟁상대가 많이 포진되어 있으나 클릭으로 이어지지 않는 상황, 카카오 PC 컨텐츠는 고객 니즈도 높지 않으며 클릭도 많지 않은 상황을 예시로 보여주는 Logger의 포지션 맵 예시 화면
(그림6) 광고 포지션맵 활용 예시

(그림5) 내용을 참고하여 (그림6)과 같이 잠재 고객 확보를 위해 어떤 액션을 수행해야 할지 포지션 맵을 활용하여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광고비와 매출액을 비교하여 적정 수준의 광고비 파악

왼쪽에는 광고비와 매출액을 보여주는 막대선차트가 있고 오른쪽에는 왼쪽의 차트를 기반으로 해당 광고 매체 적정 광고비는 800만원으로 그 이상을 투자하더라도 매출액에는 큰 변화가 없음. 단, 이슈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음 이라는 문구와 함께 광고비 적정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Logger 솔루션 예시 화면
(그림7) 광고비와 매출액 비교

※ (그림7)은 특정 광고매체에 대한 광고비와 매출액을 비교한 데이터

 

광고비가 올라가고 있으나 8,000,000원 이상부터는 매출액의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이슈가 있지 않는 이상) 그럼 해당 광고 매체의 적정 광고비는 8,000,000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상을 투자하더라도 특별한 이슈가 있지 않은 이상 매출이 크게 오르지 않을 것 입니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A 광고매체는 800만원만 투자하더라도 A광고를 통한 매출액을 유지할 것이다.”

그리고 A매체의 광고비를 8,000,000원으로 줄이고 광고를 집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최초 세운 가설을 검증하여 가설이 실제로도 맞다면 A광고 매체는 8,000,000원 이상의 광고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광고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마케터 분들은 자사 광고 성과 데이터 뿐만 아니라 광고매체 데이터를 결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오늘 설명드린 내용은 보고용 보고서가 아닌 실무에 액션플랜을 수립하기 위한 보고서의 예시였습니다.

 

비즈스프링은 로거 + 구글 빅쿼리 + 구글 데이터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실무에 필요한 광고매체 통합 보고서를 제작해주는 광고매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템플릿을 통해 실무에 필요한 광고 성과 보고서를 자동화하여 보다 마케터 분들이 주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광고매체 통합 서비스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02-6919-5516 | ✉ ad@bizspring

비즈스프링 뉴스레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