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중 “데이터의 정확성이 얼마나 되나요?”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은 보통 “비교중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 마다 수집 기준이 다르다.”
“Case By Case 이다.” 등 질문자 입장에서는 애매한 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 내용은 데이터 정확성에 대한 의구심이 들 때 체크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첫번째. 웹사이트 내 분석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 툴은 보통 분석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에 분석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게 됩니다.
즉, 분석 스크립트의 누락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분석 스크립트의 역할은 무엇일까?
분석 스크립트를 역할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에 대한 정보(방문 유저, 웹사이트 페이지 URL 유입경로 등)를
원천 데이터(RAW Data)를 저장하는 서버에 호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분석 스크립트가 특정 페이지에 적용이 되어 있지 않다면,
실제로 해당 페이지에 방문하더라도 데이터를 호출해주는 분석 스크립트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게 됩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특정 프로모션 페이지를 별도로 관리하거나,
PC 사이트에는 스크립트를 적용했으나 MOBILE 사이트에는 스크립트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두번째. 운영중인 광고 클릭 시 이동 페이지에 광고 분석코드가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 툴에서 광고분석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때는 웹사이트에 적용되는 분석 스크립트 외,
광고 클릭 시 이동한 페이지 주소에 광고 분석코드가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키워드 광고에서 제공하는 광고 분석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n_media=게재위치&n_query=검색어&n_rank=노출순위&…&n_keyword=키워드&… ]
바로 위에 있는 것이 네이버 사이트 검색광고 추적코드입니다.
키워드 광고를 클릭 후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페이지 주소창에 광고 추적코드가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웹사이트에 적용된 분석 스크립트가 데이터를 호출할 때
“네이버 사이트 검색광고의 000 키워드로 접속했다”라고 보내주기 때문이죠.
하지만 만약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추적코드가 없다면
웹사이트에 분석 스크립트가 적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키워드 광고로 접속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키워드 광고 외 리타겟팅, SNS, 디스플레이 광고 또한 광고 클릭 시 이동한 페이지 주소에
광고를 분석할 수 있는 광고코드(로거의 캠페인코드, 구글애널리틱스의 UTM코드 등)가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세번째. 분석 웹사이트에서 페이지 강제 이동이 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웹 분석 툴에서 제공하는 유입경로 데이터를 확인해 보시면 직접유입/북마크 또는 내부유입 비중이 굉장히 높은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경우가 분석 웹사이트에서 페이지 강제 이동이 되는 경우가 해당되는데요.
왜 직접유입/북마크 또는 내부 유입 비중이 높은 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 상황 ]
한 유저가 “네이버”에서 000키워드를 검색 후 키워드 광고를 클릭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했습니다.
그러나 웹 분석 툴에서 네이버 키워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려고 하니
“데이터가 조회되지 않는다” 라고 안내 문구가 뜹니다.
분명 웹사이트에 분석 스크립트도 적용했고 광고 매체사에서 추적코드도 받을 수 있도록 수정해 놨는데도 말이죠.
[ 경우 ]
키워드 광고를 클릭하여 접속한 첫 페이지에서 웹사이트 내 다른 페이지로 강제 이동 시키는 경우 입니다.
이런 경우는 광고 클릭 시 이동 페이지 URL을 도메인으로 등록한 경우 자주 발생되는데요.
위의 상황으로 말씀드리면
000 키워드의 광고 클릭 시 이동 페이지 URL은 “bizspring.co.kr”입니다.
하지만 bizspring.co.kr 페이지로 접속 후 주소창을 보면 “bizspring.co.kr/website/home”으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bizspring.co.kr 페이지는 유저에게 보여지지 않는 페이지입니다.
그리고 bizspring.co.kr 페이지에는 스크립트가 대부분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분석 스크립트가 처음 로딩되는 페이지는 “bizspring.co.kr/website/home”이 되는 것이죠.
이와 같이 페이지를 강제 이동시킬 때
유입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레퍼러(이 전 페이지 정보)”와 “쿼리스트링(쉽게 광고를 분석할 수 있는 코드)”가 유실됩니다.
그래서 “bizspring.co.kr/website/home” 페이지를 기준으로 이 전 페이지가 없다고 데이터를 수집 하기도 하며,
또는 이 전 페이지가 bizspring.co.kr이기 때문에 내부 유입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합니다.
또한 광고 분석 코드 또한 유실이 되기 때문에 실제 키워드광고를 클릭하여 접속한 유저라도
웹 분석 툴에서는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줄 수 없는 것이죠.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법은
웹사이트 개발 담당자 분이 페이지 강제 이동시킬 때
위에 설명한 레퍼러과 쿼리스트링을 같이 전달 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도메인을 구매한 후 프레임을 통해
전혀 다른 도메인 사이트를 불러오는 경우 불러오는 실제 사이트의 네임서버를 변경해야 합니다.
네번째. 광고매체, 각 웹 분석 툴 등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을 확인해야 합니다.
광고매체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웹 분석 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가장 많이 비교하게 됩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차이는 크게 “데이터 지표 및 수집 방식”과 “광고 기여기간(Look Back Window)”에 따라
데이터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 중 광고매체사의 클릭수와 웹 분석 툴의 방문수(세션수) 데이터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광고매체사의 클릭수와 웹 분석 툴의 방문수(세션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고매체사 클릭수
광고매체사 클릭수는 웹사이트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광고를 클릭하게 되면 클릭수를 카운트하게 됩니다.
좀 더 자세하게 말하면 광고를 클릭하면 방문자에게는 웹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광고를 클릭 후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이 전에 광고 클릭수 등을 분석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페이지 또는 광고 서버로 강제 이동시킨 후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보이지 않는 페이지 또는 광고 서버에 접속한 시점에 클릭수를 카운트하게 되는 것입니다.
웹 분석 툴의 방문수(세션수)
방문수(세션수)는 웹사이트 방문 후 스크립트가 로딩되는 시점에 카운트하게 됩니다.
그림처럼 광고를 클릭한다고 하더라도 접속한 페이지 주소에 광고 분석 코드가 없거나,
접속페이지에 분석 스크립트가 없거나 분석 스크립트가 로딩되기 전 이탈한다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것이죠.
또한 로거에서는 웹사이트 방문 후 서핑을 종료하더라도
세션시간(서핑을 중지한 시점부터 30분)내 다시 접속하게 되면 방문수를 카운트하지 않습니다.
자 그럼 위의 상황을 토대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상황 ]
한 유저가 모바일 기기로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잘못하고 리타겟팅 배너 광고를 클릭했습니다.
그럼 사이트가 이동되기도 전에 뒤로가기를 누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광고 매체사에서는 클릭수를 카운트하게 됩니다.
하지만 웹 분석 툴에서는 광고를 클릭했더라도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웹사이트에 적용된 분석 스크립트가 로딩되지 않았기 때문에
방문수(세션수)를 카운트하지 않게 됩니다.
그럼 매체사에서는 클릭수를 1카운트되었다고 하지만,
웹 분석 툴에서는 접속한 이력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조회할 수 없는 것이죠.
그리고 광고 기여기간(Look Back Window)이 서로 다릅니다.
먼저 광고 기여기간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광고 기여기간은 광고에 대한 효과를 인정해주는 기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한 유저가 1일날 A광고를 클릭 후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서핑을 종료합니다.
그리고 10일날 A광고 외 다른 경로로 웹사이트에 다시 접속 후 주문을 했습니다.
만약 A광고의 기여기간이 15일이라고 가정하면, A광고의 매체사에서는 A광고를 통한 성과를 인정해 주는 것이죠.
그럼 예시 상황으로 설명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상황 ]
한 유저가 1일날 A광고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 후 서핑을 종료합니다.
그리고 20일에 즐겨찾기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주문을 발생시킵니다.
만약 A광고의 매체사 광고 기여기간과 웹 분석 툴의 광고 기여기간이 아래와 같다면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게 될까요?
보시는 것과 같이 A광고의 광고매체사는 광고 기여기간을 30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웹 분석 툴의 광고 기여기간은 14일로 지정되어 있죠.
그럼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예시와 같이 A광고 매체에서는 주문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웹 분석 툴에서는 수집을 하지 않았을까요?
이유는 바로 광고 기여기간 때문입니다.
먼저 주문한 유저는 1일날 A광고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20일에 즐겨찾기로 접속한 후 구매를 하죠.
즉 A광고를 본 후 구매로 이어진 시간이 20일이 소요되었죠.
여기서 가상의 A광고 매체사의 광고 기여기간은 30일이기 때문에
A광고 매체사에서는 A광고에 대한 주문수를 카운트하게 됩니다.
하지만 가상의 웹 분석 툴은 광고 기여기간이 14일이기 때문에
20일날 구매한 데이터에 대해서 A광고에게 인정을 해주지 않습니다.
그럼 A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주문 데이터와 웹 분석 툴에서 제공하는 주문 데이터가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마무리하며..
이처럼 분석 데이터의 정확성에 대해서 의구심이 들 때는 아래 내용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웹사이트 내 분석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어 있는지 체크
- 운영중인 광고 클릭 시 이동 페이지에 광고 분석코드가 적용되어 있는지 체크
- 분석 웹사이트에서 페이지 강제 이동되고 있는지 체크
- 광고매체, 각 웹 분석 툴 별 데이터 수집 방식 체크
분석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은 데이터 분석에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저는 제일 먼저 데이터 수집에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 개선하는 작업이 첫번째라 생각합니다.
그래야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인사이트를 찾아야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이 글을 읽으셨다면 한번 확인해 보세요.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지.
그래서 정말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