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Elasticsearch ILM 적용을 통한 최적화 운영

  • 테크

비즈스프링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광고 리포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Elasticsearch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광고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 집계하여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이전 블로그 글에서는 Elasticsearch의 장점을 비즈스프링 솔루션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ES의 최적화된 운영과 유지보수 관점에서 데이터 관리 방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즈스프링이 Elasticsearch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lasticsearch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Elasticsearch를 사용한 AIR(매체통합리포트) 리포팅
💾AIR에서 Elasticsearch를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구성은 어떻게 할까
💾[AIR™] Elasticsearch 사용을 위한 쿼리 생성 과정
💾[AIR™] Elasticsearch를 사용한 리포트 생성하기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Elasticsearch의 데이터 저장 방식과 구조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Elasticsearch는 일반적인 DB와는 달리 역색인(inverted index) 개념을 활용하여 전문(Full-Context) 검색을 지원하며,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Elasticsearch 장점

1. REST 기반 인터페이스로 사용이 편리하고,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스키마에서 자유롭습니다. 즉, 정의한 데이터가 누락되어도 잘 작동하고, 정의하지 않은 데이터도 입력(인덱싱)이 가능합니다.
2. 분산처리(클러스터링)으로 대량의 데이터도 빠르게 처리합니다. Sharding에 따라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데이터 노드를 추가하면 알아서 Shard를 재분배하여 최적의 성능을 내줍니다.
3.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합니다. 원천(Raw) 데이터 레벨에서 데이터 조회가 필요한 경우, 입력과 거의 동시에 바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엘라스틱의 데이터 구조

Elasticsearch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덱스(Index)테이블(Table)
샤드(Shard)파티션(Partition)
문서 (Document)행 (Row)
매핑(Mapping)스키마 (Schema)
Query DSLSQL
Figure 1. Elasticsearch Schema vs RDBMS Schema

Index
Elasticsearch에서 Index란 하나의 논리적인 ‘저장 단위’입니다. RDBMS에서는 테이블(Table)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RDBMS의 Index(검색 속도 향상을 위한)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Elasticsearch는 분산 처리가 가능하여 여러 노드에 걸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분산 저장된 데이터 묶음을 “Index”라는 논리적인 단위로 부릅니다. 하나의 물리 노드에 여러 개의 논리 인덱스를 생성하거나, 하나의 인덱스가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M:N)되기도 합니다.

Shard
색인된 문서는 하나의 index-index 내부에 색인 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Partition으로 나뉘어 구성됩니다.
( Partition = Shard )

Type
인덱스 논리적 구조, 인덱스 당 하나의 타입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Document
Elasticsearch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최소 단위이며, RDBMS에서는 Row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JSON Format으로 저장되어, 스키마 없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자유로운 구조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Field
도큐먼트를 구성하는 속성이며, Document가 JSON 포맷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Field는 Key:Value 포맷으로 저장되며, RDBMS와 비교하면 열(Column)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속성
– DB컬럼과 비교 가능
– 1개의 Field는 목적에 따라 다수의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REST API를 통해 아래와 같이 HTTP Method으로 호출되기도 합니다.

ES HTTP MethodRDBMS SQL
GETSELECT
PUTINSERT
POSTUPDATE, SELECT
DELETEDELETE
HEAD (인덱스 정보확인)
Figure 2. ES HTTP Method vs RDBMS SQL

다음 예제에는 1의 document_id 가 할당된 bizspring 이라는 인덱스에 문서를 만드는 쿼리입니다. JSON 포맷으로 이루어져 실제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삽입이 가능합니다.

POST /bizspring/_doc/1
{
  "firstname": "Biz",
  "lastname": "Spring"
}

Elasticsearch Index LifeCycle Management(ILM)

단순히 인덱스에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을 넘어 Shard 갯수 설정도 가능한 ILM은 해당 데이터 보관 상태에 따라서 4가지 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적용 가능한 Policy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Case.1 새로운 인덱스로 Roll-Over시, 최대 Size와 Age를 설정할 때
  • #Case.2 가용성 (Availability)가 더 이상 중요치 않아 Replica를 줄여도 되는 시점을 설정할 때
  • #Case.3 인덱스가 더 이상 Update 되지 않아 Primary Shards를 줄여도 되는 순간을 설정할 때
  • #Case.4 언제 인덱스를 실제로 지울 것인지 설정할 때

예를 들어 광고 캠페인 데이터 중 랜딩 URL이 포함한 데이터에 ILM(LifeCycle Management)를 적용할 때 아래와 같은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1단계] 생성된 Index가 30GB에 도달하면 새로운 Index로 Roll-Over 수행
  • [2단계] 오래된 Index 를 Hot -> Warm으로 바꾸고, Read-Only로 변경되며 1개의 Shards로 축소
  • [3단계] 7일이 지나면 Index를 Warm -> Cold 단계로 전환하고 낮은 사양의 Spec Machine으로 이전
  • [4단계] 30일의 보관기간을 넘으면 해당 Index를 삭제 처리

ILM 정책을 통해 Index 크기에 따라 Roll-Over1 기간, Doc 수량 또는 Doc의 보존 기간을 정의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보관 공간이 작고 쓰기 작업이 적은 Hot-Warm 클러스터에서는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쿼리 요청 빈도가 많지 않은 데이터 관리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실제로 간단하게 엘라스틱 인덱스가 생성되는 틀이라고 할 수 있는 Template에 해당 ILM의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Dev Tools 내의 Query를 통해 ILM 정책을 적용하거나, Kibana_UI에서도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1]에서 그 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1] ILM Index Template 적용 사례
[그림1] ILM Index Template 적용 사례

위의 그림은 Elasticsearch 내의 Kibana-UI를 통해서 Index LifeCycle Policy (ILM) 정책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해당 예제에서는 Index가 생성된 후, 1시간이 지나면 해당 Doc 내의 Data를 삭제하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이 ILM 정책은 적용된 시점 이후에 생성된 Index에만 반영됩니다. 적용된 정책은 [/Management/Elasticsearch/Index Lifecycle Management] 내의 Linked indices 항목에서 count가 되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Policy Options 내의 View indices linked to Policy를 통해 해당 Index의 삭제 모니터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uery로 해당 Index Template에 LifeCycle 정책이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GET _template/.monitoring-kibana
[그림2] ES Query내의 LifeCycle 정책 적용 확인

아래의 Query를 통해 적용 시점의 이후 Index( .monitoring-es-6-2024.12.17 ) 가 삭제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GET /_cat/indices/.monitoring-es-6*?v&s=index

#상태비교
green  open   .monitoring-es-6-2024.12.17 vtvrysQ2Q3KRT794krd1rA   1   1     184763        29898    210.8mb          106mb
green  open   .monitoring-es-6-2024.12.18 TcygaboLShiFcY1-cK1HKg   1   1     111997        19948    136.3mb         65.5mb


#상태비교
green  open   .monitoring-es-6-2024.12.10 foyuODG7RpSco1oRh1hk1A   1   1    6008292        44685      6.7gb          3.3gb
green  open   .monitoring-es-6-2024.12.18 TcygaboLShiFcY1-cK1HKg   1   1     202767         9970    413.1mb        205.9mb

위의 ILM을 적용하게 되면 Index 가 생성될 때에 해당 데이터를 언제까지 보관하고 관리할 것 인지를 설정하여, 시간과 리소스를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정책을 통해 운영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ILM(LifeCycle Management)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엘라스틱 클러스터 운영 방식을 이번 글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References & Anotation

  •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6.6/index-lifecycle-management.html
  1. 각 index의 사이즈 및 보관기간을 관리하는 위한 기능. 해당 미리 설정해 둔 값에 도달하면 기존 Index를 Rollover를 하고 새 Index에 쓴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