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사이트

[독후감] 승려와 수수께끼(The Monk and The Riddle)

  • 기준

책/ 승려와 수수께끼(The Monk and The Riddle) * 안철수 교수의 기업가정신 강의교재로 활용되었던 책. 누구의 소유물이 되기에는, 누구의 제 2인자가 되기에는,또 세계의 어느 왕국의 쓸만한 하인이나 도구가 되기에는나는 너무나도 고귀하게 태어났다.(셰익스피어, 존 왕 5박 2장) 계란하나를 1미터 아래로 떨어뜨리는데, 깨지지 않으려면?— 1미터 이상으로 계속 늘려나가면 된다. 그는 자신이 원하는 바를… 더 보기 »[독후감] 승려와 수수께끼(The Monk and The Riddle)

[독후감] Demand(디맨드), 세상의 수요를 미리 알아챈 사람들

  • 기준

[도서] Demand(디맨드), 세상의 수요를 미리 알아챈 사람들 저자의 서문과 역자의 서문이 잘 되어 있어서 맘에 드는 책이었습니다. 막연히 시장과 고객의 Needs에 맞는 무엇인가를 하라…라는 말을 하도 듣다보니 무뎌졌을 법한 우리들에게 다시한번 생각해볼 기회를 만들어주는 책이기에 정리해보았습니다. 물론, 마음대로 요약하였기에 책의 내용에 대한 잘못된 전달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 [추가 서문 요약발췌 의견] –… 더 보기 »[독후감] Demand(디맨드), 세상의 수요를 미리 알아챈 사람들

[독후감] 노자처럼 이끌고 공자처럼 행하라

  • 기준

책 ‘노자처럼 이끌고 공자처럼 행하라’를 간략하게 후기를 겸해서 요약해봅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고전의 재해석(?)을 통한 경영서적들은,  2가지 책을 하나로 묶어서 비교하면서 쓰는 것이 요즘의 트렌드인가 봅니다. 이책은 약간 애매하게도 노자와 공자를 함께 엮어서 쓰기는 했는데, 완전히 노자편과 공자편으로 나뉘어져 있군요. (결국은 그냥 합본… ㅜ.ㅜ) 노자처럼 이끌고 공자처럼 행하라후웨이홍,왕따하이 공저/최인애 역 어진 사람만이 사회가치를 실현할 수… 더 보기 »[독후감] 노자처럼 이끌고 공자처럼 행하라

반송율을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5가지

  • 기준

반송은 웹사이트에 방문하였으나,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웹사이트를 떠난 것을 말합니다. 반송율은 전체 방문수 중 반송된 비율입니다. 반송율을 줄이는 것은 웹사이트 운영의 기본입니다. 마케팅 활동으로 키워드, 배너 광고 등 유료 채널을 이용하고 있다면 더욱 중요한 요소입니다.

QR코드의 마케팅 효과 측정

  • 기준

각 매체를 통해 웹에 접속한 방문자의 방문수, 반송수와 같은 데이터를 잡지의 광고효과가 좋은지 신문의 광고효과가 좋은지 알 수 있습니다. 즉, QR코드 분석은 QR코드를 적용한 잡지, 신문, 쿠폰북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가 웹 유입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효과적인 광고 예산 책정 방법

  • 기준

키워드 광고는 어느덧 광고 시장의 주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대 광고 비용을 책정하여 진행하는 업체는 드뭅니다. 마케팅의 기본은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 발휘’입니다. 최소 범위 내에서 최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광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웹분석 용어 이야기 (전환율/Conversion Rate)

  • 기준

전환율은 성과지표의 한 분류이며 기본지표와 측정지표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파생지표, 그리고 특성분류로 구성됩니다. 기본지표, 파생지표, 특성분류를 조합하면 특정 캠페인을 통하여 유입된 방문자의 방문수와 주문수를 파악하여 방문당 주문율에 대한 성과값(전환율)이 나올 수가 있게 됩니다.

웹분석 시장의 흐름/역사

  • 기준

웹분석도구가 독립적인 제품이 아니라 필수적 기능으로서 존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치 온라인 광고서비스, 블로그에 따라오는 웹분석기능처럼 어느 곳이든 웹분석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웹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측정 및 리포팅은 특별한 기술이 아니라 기본적인 기능이 되었습니다.

웹분석 용어 이야기 (순방문자/Unique Visitor)

  • 기준

순방문자 수는 어느 한 웹 사이트를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방문한 사람들 중 고유ID값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수를 계산한 수치입니다. spiders나 robots의 방문은 카운트 되지 않으며 방문수는 지정된 기간의 리포트에서 오직 한번만 카운트 됩니다. (ex.일, 주, 월)

[마케팅용어]롱테일의 법칙

  • 기준

롱테일의 법칙(긴꼬리의 법칙)은 동물의 꼬리를 닮았다하여 붙혀진 이름입니다. 기존 마케팅 용어인 파레토 법칙(상위20%의 우수고객이 전체매출의 80%를 발생시킨다)을 뒤엎는 현상으로 조금은 등한 시 되었던 80%의 소액 고객이 상위20% 우수 고객의 매출을 상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